본문 바로가기
SQL(데이터베이스)

4. 데이터타입(문자열)

by 아몰라코딩 2025. 3. 10.

데이터타입(문자열)

1. 문자열 데이터 타입 (Character/String)

문자열을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입니다.

주요 데이터 타입:

 

데이터 타입 설명 예제
CHAR(n) 고정 길이 문자열 (최대 n자) CHAR(10) → 'Hello_____' (10자리 고정)
VARCHAR(n) 가변 길이 문자열 (최대 n자) VARCHAR(10) → 'Hello' (5자리만 사용)
TEXT 대용량 문자열 저장 블로그 글, 설명 필드 등

📌 차이점:

  • CHAR(n) → 고정 길이 (빠르지만 공간 낭비 가능)
  • VARCHAR(n) → 가변 길이 (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)
  • TEXT → 아주 긴 문자열을 저장할 때 사용

2. 불리언 데이터 타입 (Boolean)

참(TRUE) 또는 거짓(FALSE) 값을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입니다.

주요 데이터 타입:

 

데이터 타입 설명 예제
BOOLEAN TRUE 또는 FALSE 값을 저장 is_active BOOLEAN

📌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저장 방식이 다를 수 있음

  • MySQL → BOOLEAN은 내부적으로 TINYINT(1)로 저장 (1 = TRUE, 0 = FALSE)
  • PostgreSQL → BOOLEAN을 그대로 지원

3. 숫자 데이터 타입 (Number)

숫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입니다.

주요 데이터 타입:

🔹 정수형 (Integer)

 

데이터 타입 설명 크기
TINYINT 매우 작은 정수 (-128 ~ 127) 1바이트
SMALLINT 작은 정수 (-32,768 ~ 32,767) 2바이트
MEDIUMINT 중간 크기 정수 (-8,388,608 ~ 8,388,607) 3바이트
INT (또는 INTEGER) 일반적인 정수 (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) 4바이트
BIGINT 매우 큰 정수 (-2⁶³ ~ 2⁶³-1) 8바이트

🔹 실수형 (소수점 포함)

 

데이터 타입 설명 크기
FLOAT 부동 소수점 (4바이트) 4바이트
DOUBLE 더 정밀한 부동 소수점 (8바이트) 8바이트
DECIMAL(p, s) (또는 NUMERIC) 고정 소수점 (정확한 값) p = 전체 자리수, s = 소수점 이하 자리수

4. ENUM 데이터 타입정해진 값만 저장 가능

✔️ 예시:

  • 옷 사이즈: S, M, L, XL
  • 사용자 상태: 활성, 비활성, 정지

 

데이터 타입 설명 예제
ENUM('값1', '값2', '값3', ...) 선택된 값만 저장 가능 ENUM('small', 'medium', 'large')

📌 언제 사용?

  • 제한된 선택지(옵션)가 있는 경우!